제주 식물1361 나도송이풀 흰꽃 23.10.02. 애월읍 소길리 흰꽃은 조금 늦게 피는 것 같다. 2023. 10. 3. 진범 23.10.02. 애월읍 상가리 벌초로 사라졌나 했는데 늦게라도 올라와서 같아 다행이었다. 2023. 10. 3. 한라돌쩌귀 23.10.02. 제주시 회천동, 애월읍 상가리 개체 수는 많은데 담을만한 게 별로 없었다. 2023. 10. 3. 이질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9. 29. 당잔대 23.09.23.표선면 성읍리 급하게 오른, 바람 부는 오름에 이쁘게 피어 있었다. ** 초롱꽃과 잔대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7~9월 암술머리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2023. 9. 28. 좀어리연꽃 23.09.23. 성산읍 삼달리 이틀 전에 흘린 에어 블로워를 찾으러 왔는데 얌전히 기다리고 있었다. 지난 번에는 보이지 않던 꽃도 제법 보였는데 바닥이 진흙풀로 덮혀 있어서 반영이 이쁘지는 않다. **조름나물과 어리연속 여러해살이 물풀 개화기 : 6~9월 2023. 9. 28. 담배풀 23.09.22. 애월읍 상가리 무성하게 피어 있었다. **국화과 담배풀속 두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꽃은 잎겨드랑이에 수상으로 달리며 보통 포가 없다. 근생엽은 긴 잎자루가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잎자루가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 2023. 9. 28. 한라돌쩌귀 23.09.22. 제주시 아라동 추석 쇠러 가기 전에 담아서 다행이다. **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 결실기 : 9~10월 꽃은 산방상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골돌은 3개이다. 2023. 9. 23. 왜승마 23.09.22. 제주시 아라동 드디어 피기 시작했다. 아담한 크기를 골라 담았다. **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꽃은 겹총상꽃차례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1~2회 삼출복엽,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원줄기는 꽃대 같으며 보통 잎이 달리지 않는다. 2023. 9. 23. 새콩 23.09.22. 애월읍 상가리 보고 싶던 꽃을 제대로 만났다! ** 콩과 새콩속 덩굴성 한해살이풀 개화기 : 8~9월 / 결실기 : 10~11월 전체에 밑을 향한 퍼진 털이 난다. 잎은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 잎자루가 길다. 가운데 작은 잎은 난형으로 가장 크며 털이 난다. 턱잎은 좁은 난형으로 끝까지 붙어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대에서 6개쯤 총상꽃차례로 핀다. 2023. 9. 23.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