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식물/나무241 수정목 25.05.18.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길가에 있는 수정목에 꽃이 피었다. 어두웠지만 손전등을 비추어서 담았다. ** Damnacanthus major Siebold & Zucc. 꼭두서니과 > 호자나무속 상록활엽관목. 개화기 : 5~6월 잎은 마주나기,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 윤채가 있고 털이 없어지며 마디에 길이 1cm 정도의 가시가 있다.호자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크고 가시의 길이는 1cm로 잎보다 짧으며 맹아력은 약하고 뿌리가 군데군데에서 굵어지는 것이 다르다. * 호자나무 : 나무 전체에 잎이 나는 곳에는 곧은 가시가 마주나는데, 가시는 길이 5-20㎜로 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2025. 5. 21. 무주나무 25.05.18.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육지 꽃친의 부탁으로 만나러 갔는데 봉오리를 보고 열흘 만에 꽃을 피웠다.처음으로 바람이 불지 않았지만 흐린 날이라 어두웠다. ** 꼭두서니과 꼭두선이속 상록 떨기나무개화기 : 5~6월 서귀포의 상록수림 아래 자생.제주도가 이 식물의 북방한계지역으로서 유전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2025. 5. 21. 멀꿀 암꽃, 수꽃 수꽃 25.05.04.남원읍 신례리, 하례리 열매를 만났던 곳에는 암꽃과 수꽃이 한 곳에서 나온 것이 보였다. ** 으름덩굴과 멀꿀속 상록 활엽 덩굴식물개화기 : 5~6월 / 결실기 : 8월 중순~10월 전라남도 및 제주도에 자생.잎은 어긋나기로 두꺼우며 손모양겹잎.꽃은 암수딴그루로 유백색, 총상꽃차례, 꽃자루는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가을철에 적갈색으로 되고 많은 껍질눈이 있어 거칠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열매의 과육은 먹을 수 있다. 2025. 5. 6. 으름덩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24. 으름덩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23. 산딸기 25.04.20.서귀포시 예래동 그새 산딸기 꽃도 만발을 해서아래에서 위를 쳐다보며 찍었다. ** Rubus crataegifolius Bunge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개화기 : 4~6월 / 결실기 : 7~8월 2025. 4. 20. 조록나무 25.05.18.서귀포시 상효동 우연히 만난 꽃이 반가운데바람이 강하게 불어서 담기가 어려웠다. *** Distylium racemosum Siebold & Zucc. 조록나무과 조록나무속 상록 큰키나무 개화기 : 4~5월 / 결실기 : 9~10월 잎은 어긋나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 턱잎이 일찍 떨어지며 붉나무처럼 앞에 충영이 잘 생긴다. 꽃은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딴그루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피침형으로 겉에는 갈색인 별모양털이 있다. 수술은 6~8개이며 꽃밥은 적색, 암술은 수꽃에서는 퇴화되며 양성꽃에 1개 있고 씨방은 2실이며 겉에 성모가 있고 암술대는 1개로서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2025. 4. 20. 으름덩굴 25.04.17.제주시 해안동 이제 피기 시작하는데 바람이 많이 불어서 담기가 어려웠다. 2025. 4. 17. 붓순나무 25.04.09.조천읍 교래리 이 숲에는 붓순나무 군락지가 있다.100mm를 안 가져와서 친구 24~105렌즈로 담았다. 2025. 4. 11. 목련 25.04.08.제주시 아라동 모처럼 목련을 담으려고 별렀는데날씨가 며칠 너무 따뜻해서 조금 늦은 감이 있다. ** Magnolia kobus DC. 목련과 낙엽활엽교목 개화기 : 3~4월 제주특별자치도 숲속 자생양성꽃, 잎이 나오기 전에 피고 지름 10cm정도, 6개의 꽃잎은 백색이지만 기부는 연한 붉은색이고 향기가 있다.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선형이고 일찍 떨어지며 수술은 30 ~ 40개이고 꽃밥과 수술대 뒷면이 적색이다. 암술의 꽃밥은 붉은 자주색을 띤다. 꽃이 활짝 피어 편평하게 펴져서 산만한 감을 준다. 보통 꽃의 기부에 1개의 어린잎이 붙어 있어 백목련과 구별할 수가 있다. ▶목련의 기본종으로 코브시목련,산목련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꽃은 외국에서 육종개량된 꽃들의 화려함과는 대조적으로.. 2025. 4. 10. 이전 1 2 3 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