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6월79

들쭉나무 24.06.11.황송포 습지 24.06.12.소천지 **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낙엽활엽 소관목개화기 : 5~6월 / 결실기 : 8~9월900~2,200m의 잎갈나무숲, 사스레나무숲 및 고산툰드라 지역 같은고산지대의 양지와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2024. 6. 28.
좁은잎사위질빵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숲 가장자리 풀밭에 피어 있었다.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활엽 덩굴나무개화기 : 6~8월 / 결실기 : 9월경기도 이북, 중국, 몽골, 러시아산지의 메마른 풀밭에서 자란다.꽃잎은 없으며, 꽃잎처럼 보이는 흰색의 꽃받침잎은 5~8개이다. 2024. 6. 21.
들떡쑥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숲을 오가는 길가의 풀밭에 피어 있었다.열 명이 넘는 사람이 찍으니 사람 그늘이 지기도 한다. ** 국화과 솜다리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6~8월중국 동북부, 전국건조하고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지에 자란다. 국내 솜다리속 식물 중에서 줄기잎이 20장 이상이고, 잎끝이 둔하므로 구분된다. 2024. 6. 21.
숲바람꽃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숲 속 그늘에 주로 보여서 담기가 어려웠다. **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4~6월 / 결실기 : 7~8월러시아, 중국, 강원도 이북( 명지산, 가리왕산, 태백산) * 꽃받침잎이 뒤로 젖혀지지 않아서 회리바람꽃과 다르며,보통은 뿌리잎이 없어서 들바람꽃과 구별된다. 2024. 6. 21.
물싸리풀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처음 만나는데 숲을 오가는 길가에 피어 있었다. ** 장미과 양지꽃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6~7월 백두산 지역의 높은 지대의길가, 도랑둑, 밭머리 등의 잡초지에서 자란다. 2024. 6. 21.
가는장대(꽃냉이)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숲을 오가는 길가의 풀밭에 피어 있었다.열 명이 넘는 사람이 찍으니 사람 그늘이 지기도 한다. ** 십자화과 황새냉이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5~6월 / 결실기 : 7~8월 북부지방, 전남 지리산산과 들의 습지에 자란다. 2024. 6. 21.
큰솔나리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키가 크다!두 번째 만나는 것 같은데 정확한 기억은 없다. **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6~7월일본, 중국,몽골, 한국(괴산군, 제천시, 충주시) 2024. 6. 21.
털복주머니란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처음 만나는 꽃인데, 숲 속이라 빛을 기다리며 담았다. **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5~6월 / 결실기 : 6~7월 줄기는 전체에 털이 있고 높이가 30㎝에 달한다. 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중앙부에서 꽃대가 나온다. 마주나기한 잎의 중앙부에서 화경이 나와 1개의 잎같은 포가 달리며 그 위에서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핀다. 꽃은 지름 3~5㎝로서 황백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위꽃받침 조각은 넓은 달걀 모양, 끝이 둔하고, 옆꽃받침 조각은 동합하여 타원형으로 되며 길이 1.5㎝ 정도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씨방과 위꽃받침 조각에는 털이 있고 꽃잎은 타원형이며 입술모양꽃부리는 보통 흰색에 자주색 반점이.. 2024. 6. 21.
복주머니란 24.06.10.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6월에 오는 건 처음인데, 숲 속이라 빛이 오락가락해서 담기가 어려웠다. **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여러해살이풀개화기 : 5~6월 / 결실기 : 6~7월 2024. 6. 21.